▲ 중국 제조업체들이 유럽·미국 명품 브랜드의 원가를 폭로하는 영상을 공개해 이목을 끌고 있다. (사진=@onetechmedia24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으로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 제조업체들이 유럽·미국 명품 브랜드의 실제 제작 과정과 원가를 폭로하는 영상을 잇따라 공개하며 전 세계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최근 중국 소셜 미디어 틱톡에는 명품 제품의 원가와 실제 생산 과정을 담은 영상들이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다. 한 제조업체는 에르메스의 대표 제품인 '버킨백'의 원가 구조를 분석하며 "3만 8000달러(약 5400만원)에 판매되는 가방의 실제 제조 원가는 1450달러(약 206만원) 수준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에 따르면 버킨백 제작에 사용되는 주요 자재는 △이탈리아 누티(Nuti), △독일 바인하이머(Weinheimer), △프랑스 하스(Haas) 등에서 수입한 토고
▲ 백악관에서 새로 개설한 웹사이트 'Lab Leak' (사진=Lab Leak) 미국 정부가 코로나19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운영하던 공식 웹사이트를 폐쇄하고, 해당 주소에 '실험실 유출설'을 홍보하는 페이지를 새로 개설하여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기존에 백신 접종, 무료 검사 키트 신청, 치료제 정보, 롱코비드 대응책 등 각종 공중보건 정보를 제공하던 공식 포털 사이트(covid.gov, covidtests.gov)에 트럼프 대통령의 사진과 함께 코로나19 바이러스 기원이 중국 우한 실험실이라는 주장이 전면에 등장했습니다. 기존 콘텐츠는 모두 삭제된 상태다. 새로 개설된 페이지는 "Lab Leak"라는 제목으로, 미국 정부 내 코로나19 대응 인사, 세계보건기구(WHO), 일부 주정부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백악관은 해당 페이지에서 "우한에는 중국 최고의 사스(SARS) 연구소인 우한바이러스학연구소가 있으며,
▲ 유명 래퍼 드레이크(Drake)가 유니버설 뮤직 그룹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사진=드레이크 페이스북) 캐나다 출신의 유명 래퍼 드레이크(Drake)가 미국의 힙합 아티스트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의 슈퍼볼 하프타임 쇼 공연과 관련해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한 사실이 알려졌다. 17일 드레이크는 켄드릭 라마와 자신의 회사의 모회사인 유니버설 뮤직 그룹(UMG)을 상대로 뉴욕 연방지방법원에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드레이크 측은 라마의 히트곡 'Not Like Us'가 자신을 소아성애자로 암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 곡이 2025년 2월 열린 슈퍼볼 LIX 하프타임 쇼와 그래미 시상식 등에서 공개적으로 공연되면서 자신의 명예와 평판, 브랜드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드레이크는 “UMG가 해당 곡의 스트리밍 수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자사 아티스트의 공연과 수상을 통해 노래를
▲기후 변화로 쌀에 포함된 비소 함량이 높아지며 한국인의 주요 식재료인 쌀이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픽사베이) 기후 변화로 쌀에 포함된 비소 함량이 높아지며 한국인의 주요 식재료인 쌀이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랜싯 플래닛 헬스’는 기후 변화로 인해 쌀 속 무기 비소 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암 등 질병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식물생리학자 루이스 지스카 교수를 비롯한 미국·중국 공동 연구진이 6년 동안 수행했다. 연구진은 기온과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환경에서 다양한 쌀을 재배하고 쌀알에 포함된 비소 함량 변화를 측정했다. 쌀은
▲최근 잠들기 직전에 격렬한 운동을 하면 수면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사진=픽사베이) 최근 잠들기 직전에 격렬한 운동을 하면 수면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호주 모나쉬 대학교 연구팀은 약 1만 4천 명의 신체 활동, 수면, 심장 건강 데이터를 1년간 추적 분석한 결과를 지난 16일(현지시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저널’에 게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취침 4시간 이내에 고강도 운동을 할 경우, 수면 시간이 줄어들고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수면 중 심박수는 상승하고 심박수 변동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다중 센서가 장착된 생체 인식 기기를 활용, 총 400만 건에 달하는 수면 기록을 수집 및 분석했다. 분석 과정에서는